9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외교장관회의가 개최됐다. 11일까지 잇따라 열릴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외교장관회의, 아세안 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 등을 통해 우리나라와 아세안 국가 간의 협력 강화가 논의될 전망이다. ARF에 참석하는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회동이 성사될 가능성도 있다.
10일 외교부에 따르면 박윤주 외교부 1차관은 9일부터 한-아세안, 아세안+3(한중일), EAS, 한-메콩, ARF 외교장관회의에 잇따라 참석 중이다. 박 차관은 인사청문회 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은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를 대신해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에서는 지난해 10월 채택된 '한-아세안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CSP) 공동성명'의 세부 이행계획 격인 ‘2026∼2030 행동계획(POA)’이 채택될 예정이다. 박 차관은 이 자리에서 지난달 출범한 이재명 정부 역시 아세안을 중시하는 정책 기조를 이어갈 것임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급망 문제, 지정학적 위기 등을 극복하기 위해 협력하는 동시에 인공지능(AI), 녹색성장 등의 분야에서 호혜적 협력을 강화하자는 메시지를 발신할 전망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4일 취임 이후 해외 정상들과 잇따라 통화했으며, 아세안에 속하는 베트남이 미국·일본·중국·체코에 이어 5번째였다. ‘외교다변화’라는 기조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ARF에 참석하는 루비오 장관과 즉석 회동이 성사될 가능성도 있다. 루비오 장관은 애초 ARF에 앞서 한국과 일본을 방문할 계획이었으나 중동 분쟁 사태의 급변 등을 이유로 취소한 바 있다. 외교부는 ARF를 계기로 참여국 장관들과의 회담을 조율해왔다. 아세안 회원국 중 태국(관세율 36%), 인도네시아(32%), 말레이시아(25%), 캄보디아(36%), 라오스(40%), 미얀마(40%) 등이 고율의 상호관세를 미국으로부터 통보받았고, 이번 회의에 참석하는 한국과 일본도 각각 25%의 상호관세 부과를 통보받은 만큼 루비오 장관과 대화할 기회를 찾으려는 참가국들이 대부분일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