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장애인 44명이 2025년도 중증장애인 국가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에 최종 합격했다.
인사혁신처는 2025년도 중증장애인 국가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최종 합격자 44명을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서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직급별 최종 합격 인원은 행정, 고용노동, 교육, 전산, 보건 등의 분야에서 7급 1명, 8급 3명, 9급 40명이다. 이들은 고용노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등 14개 중앙행정기관에 채용돼 우편물 관리, 실업급여 지급, 수입식품 안전관리,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 시스템 운영 등의 업무를 담당할 예정이다.
이번 합격자들의 평균 연령은 38.4세로 지난해 36.9세에 비해 소폭 상승했으며 최고령은 57세, 최연소는 23세다. 장애 유형별로는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이 각각 11명(각 25%)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인사처는 중증장애인 응시자의 수험환경을 개선해왔다. 원서접수 시 희망자에게 가족, 친구 등 예비 연락처를 받아 시험단계별로 필요한 시험정보와 유의사항 등을 안내하고, 면접 시에는 장애 특성에 맞춰 전문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수어 통역사 등을 포함한 ‘특별상황 전담 대응팀’을 구성해 불편을 최소화했다. 올해부터는 증빙서류 제출 대상을 기존 서류전형 합격자에서 면접시험 합격 예정자로 제출 방식도 개선했다. 중증장애인 경력경쟁채용시험은 상대적으로 고용 여건이 열악한 중증장애인의 공직 진출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지난 2008년부터 도입, 올해까지 총 524명이 선발됐다.
박용수 인사처 차장은 “공직 진출 기회 확대를 위해 중증장애인에 적합한 직위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다”며 “임용 후에도 중증장애인이 불편함 없이 충분히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근무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일하기 좋은 공직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